2025 정부지원 총정리 청년통장·주거비·경감크레딧 신청방법 한눈에!

2025년, 정부와 서울시가 청년과 소상공인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제도를 시행합니다.
주거비, 공공요금, 목돈 마련에 이르기까지 지금이야말로 정책 수혜자가 될 절호의 기회입니다.
특히 이번에 주목할 정책은 다음 네 가지입니다.
✔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청 자격 확인
✔ 희망두배 청년통장 빠른 신청 방법
✔ 1인가구 주거지원금 30만원 신청
✔ 부담 경감 크레딧 50만원 신청
각 항목별로 누구에게 해당되는지,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를 꼼꼼히 정리해드릴 테니
끝까지 읽고 지금 바로 혜택을 챙기세요.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청 자격 확인

서울시가 운영하는 희망두배 청년통장은
청년이 매달 15만 원씩 저축하면, 동일한 금액을 서울시가 추가 적립해주는 자산형성 지원제도입니다.
신청 자격 요약
- 서울시 거주자 (주민등록 기준)
- 만 18세~34세 청년
※ 군 복무자: 복무 기간만큼 연장 가능 (최대 만 36세까지) - 현재 근로 중이거나, 최근 1년 내 3개월 이상 근로 이력
- 본인 소득 월 255만 원 이하 (세전 기준)
- 부양의무자 소득: 연 1억 원 미만, 재산 9억 원 미만
특이사항
- 프리랜서, 알바, 플랫폼 근로자도 포함
- 월 10일 이상 또는 60시간 이상 근로 시 인정
- 쉼터 퇴소 청년, 학교 밖 청소년은 가점 부여
희망두배 청년통장 빠른 신청

2025년 모집은 6월 9일(월)부터 6월 20일(금)까지 단 12일간!
선착순 1만 명 모집으로 조기 마감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서울시 자산형성지원 누리집 - 오프라인 접수
주소지 관할 동주민센터 방문
※ 위임장 제출 시 대리접수 가능
제출 서류
- 신청서
- 주민등록등본
- 근로소득 증빙자료 (급여명세서, 근로계약서 등)
Tip:
서류 미비나 입력 오류로 탈락하지 않도록
사전에 자격 조건과 서류 양식을 꼼꼼히 확인하세요!
1인가구 주거지원금 30만원 신청

서울시 및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1인가구 주거비 지원제도는
월세 부담이 큰 청년층과 청장년층을 위해 월 최대 30만 원까지 주거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지원 대상 예시 (지자체별 상이)
- 만 19~39세 이하 1인 청년가구
-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
-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지원 내용
- 월 최대 30만 원
- 최대 12개월까지 지원 (총 360만 원)
신청 방법
-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또는 지자체 복지포털을 통해 신청
- 사전 접수 기간과 예산 여부에 따라 선착순 마감 가능
부담 경감 크레딧 50만원 신청

정부는 2025년 7월부터 ‘부담 경감 크레딧’이라는 새로운 공공요금 지원 정책을 시행합니다.
전국 311만 명 소상공인에게 전기, 수도, 가스, 사회보험료 등을 최대 50만 원까지 지원합니다.
지원 대상
- 연 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
-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 모두 포함
- 업종 제한 없음 (일부 사행성 업종 제외)
지원 방식
- 신용카드로 공과금·사회보험료 납부 시,
정부가 최대 50만 원까지 정산 지원 - 7월에 30만 원, 8월에 20만 원 → 총 50만 원 지급
신청 방법
- 별도 신청 없이 카드사와 정부 간 자동 정산 처리
- 단, 카드 납부 내역이 필수
- 실제 정산은 8월~9월 중 이루어질 예정
유의사항
- 현금 납부는 지원 제외
- 반드시 사업자 카드 사용 내역이 남아야 함
- 카드사별 정산 방식 차이 있을 수 있음
2025 정부지원 총정리 청년통장·주거비·경감크레딧 신청방법 한눈에!